2025.07.11.
① 우리 모두는 다른 경로로 팔레스타인의 해방을 위해 모였으나 서로의 존엄과 안전이 그 바탕임을 압니다.
② 우리는 권위주의, 폭력, 혐오에 맞서며 상호존중과 평등한 관계를 지향합니다.
③ 우리는 억압에 맞선 평등한 공간을 위해 차별, 혐오, 위계, 배제에 단호히 반대합니다.
④ 우리는 집회 발언 시 여성, 성소수자, 장애인, 청소년, 이주민 등 사회적 소수자를 차별하거나 배제하는 말을 하지 않습니다. (예: 여성에게 ‘마음도 얼굴만큼 예쁘다’, 청소년에게 ‘기특하다’, 장애를 빗대어 ‘눈 먼 장님과 같다’, ‘정신적 불구 상태’ 등)
⑤ 우리는 다른 참가자의 경험, 정체성, 감정에 존중과 경청의 자세를 갖습니다.
① 집회 중 경찰의 지시가 인권을 침해할 경우, 공무수행 중이므로 신분을 요구하고 부당함에 대해 말하고 실무팀에 알립니다.
② 위법한 행위를 할 경우, 즉시 사진이나 영상으로 기록하고 상황을 공유합니다.
③ 직면한 상황이 물리적 위험이 있을 경우, 개인의 안전이 우선이므로 단독 대응하지 말고 실무팀에 알립니다.
① 팔레스타인 및 이주민에 대한 혐오발언을 하며 집회를 방해하는 일이 발생하면, 집시법 상 집회방해에 해당하므로 불법이라는 것을 알리고 중단을 요구합니다. 혐오세력의 폭력적 언행에 대해 우리는 비폭력적으로 대응하며, 실무팀에게 알립니다.
② 집시법 상 집회방해에 대해 경찰이 제지할 의무가 있으므로 경찰에게 대처할 것을 요구합니다.
① 상대방이 원치 않는 언행 및 대면 상황에서의 동의 없는 신체접촉(성폭력)을 하지 맙시다.
② 어린 사람은 아랫사람이 아닙니다. 처음 만난 상대에게 높임말을 사용하고 혐오/차별 표현은 지양합시다.
③ 문제제기는 분위기를 망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분위기를 만들어나가는 것입니다. 누군가 야유, 욕설, 비하, 배제, 차별, 혐오 발언 및 행동을 한다면 정확하고 명확하게 행위 중단을 요구합시다. 문제제기를 장난처럼 가볍게 생각하거나, 눈치 주지 않고 진중한 태도로 받아들입시다.
④ 주변에서 현장을 목격했을때 가해행위를 멈추도록 항의하고, 기록을 남기고, 실무팀에게 도움을 요청합시다.